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활꿀팁#4] 애플페이의 국내도입 확정

by 악어의 생활선생님 2022. 10. 8.
반응형

국내의 많은 앱등이분들이 환호할만한 소식입니다.

 

아이폰을 사용하는 많은 이용자들이 항상 삼성을 부러워 하는게 있다면 딱 한가지 "삼성페이"의 용이성인데요.

이제는 더 이상 그 한가지의 아쉬움마저 용납할일이 없게 되었습니다.

 

바로, 아이폰도 삼성페이의 대항마 "애플페이"를 국내 도입하기로 했기 때문이죠.

 

사실 애플페이는 올해 초중반부터 꾸준히 도입을 하느냐 마느냐로 계속해서 루머가 이어져왔는데요.

결국 오피셜을 통해 국내 도입확정을 알려왔고, 그 대상카드는 다름아닌 "현대카드"를 선정 하였어요.

 

아마, 국내에 첫 도입하는 단계다보니 약관규정의 검토, 기술시스템, 전산 등 현대에서 독자적으로 개발을 해야 하는 상황이고, 애플을 좋아하는 많은 이용자분들도 익히 루머에대해 들어보셨겠지만 워낙 애플이 본인들만의 프라이드가 높다 보니 사실상 불공정계약이 아닌가? 하는 조건으로 유수의 제안을 많이해 온 것으로 알려져있는데요.

 

그 일환으로 애플카에 대한 루머도 참 많았었죠.

 

아무튼, 오늘은 애플페이에 대한 내용이니 애플카 얘기는 잠시 접어두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삼성페이와 애플페이가 도입되면 그 차이점이 많이들 궁금해하실텐데요.

 

삼성페이와 애플페이는 결국 비접촉 결제 방식이라는 점에 편의성을 확보하고 있는데요.

차이점은, 삼성페이는 NFC와 MST 결제방식을 모두 지원하지만 애플페이는 NFC 결제방식만을 지원해요.

 

그렇다면 MST와 NFC가 무엇이냐에 대해 알아봐야할텐데요.

 

MST결제방식은 카드의 마그네틱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여 결제를 하는 방식이에요.

NFC결제방식은 우리가 갈망하는 "비접촉 결제 방식"이에요. 무선통신 기술을 통해 카드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아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이죠.

 

일반적으로 카드단말기에 MST결제방식이 없는 단말기는 찾아보기 힘들어요.

왜냐하면 최초 카드단말기를 도입할 때, NFC방식은 개발되지 않았고 실물카드를 통해 긁어 결제하는 MST결제방식이 

시초였고, 그 이후에 기술의 개발로 NFC결제방식이 발달되면서 개발되어왔기때문이죠.

현재 한국의 NFC단말기의 보급률은 10%에 그친다고 해요.

그 뜻은, 애플페이가 정상적으로 운영되더라도 국내에서 애플페이를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범위가 상당히 제한될 것이라는 거죠.

 

따라서 현대카드는 이마트, 코스트코, 스타벅스, 편의점 등 대형 가맹점을 주로 이루고 있는 프렌차이즈 등을 중심으로 애플페이 서비스를 공략해나갈 것으로 보여요.

 

 

그리고 또 하나는 교통카드 기능인데요.

이 부분은 확정된 정보가 없어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기존의 애플페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국가중에서도 애플페이 자체에서 교통카드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다수였기때문에 국내에서도 교통카드 기능에 대한 여부는 회의적인 반응이에요.

 

자 오늘은 애플페이와 삼성페이의 차이점과 애플페이의 상세내용을 알아보았어요!

다음에는 더 좋은 정보를 통해 인사드릴게요.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